결혼 준비 과정은 설렘도 있지만 생각보다 준비할 게 정말 많죠!
결혼은 두 사람이 인생을 함께하는 중요한 시작인 만큼 준비할 것도 많고 신중해야 해요.
커플마다 일정이나 상황은 다르니 참고해서 맞게 조정하시면 좋아요
아래에 전반적인 결혼 준비 과정을 순서대로 정리해볼게요.
1. 상견례
상견례 양가 부모님께 결혼 의사를 알리고 처음으로 공식적인 만남을 가져요. 이 자리에서 결혼 날짜, 예식 장소, 예단·예물·혼수 등에 대한 의견을 조율해요.
- 양가 부모님께 인사드리고 결혼 의사 공유
- 예식 날짜, 예산, 혼수, 예단, 예물 등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
2. 결혼 날짜 및 예식장 예약
결혼 날짜 정하기 음력/양력, 계절, 예산 등을 고려해 예식 날짜를 정하고, 인기 있는 날짜는 미리 예약이 필요해요.
예식장 예약 웨딩홀, 호텔, 야외 등 원하는 스타일과 예산에 맞는 예식장을 고르고 계약해요.
- 인기 있는 날짜(토요일, 공휴일), 웨딩홀, 시간대는 빠르게 예약 마감되니 서둘러야 해요
- 예식 스타일 (호텔, 웨딩홀, 야외 등) 결정
3. 웨딩 패키지 선택 (스드메)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계약 보통 웨딩 박람회나 업체를 통해 패키지로 계약해요.
웨딩 촬영을 위한 스튜디오, 드레스 피팅, 메이크업 샵 등을 미리 결정하고 촬영 날짜를 조율해요.
웨딩 촬영 스튜디오 촬영은 보통 예식 2~3개월 전에 해요. 컨셉과 스타일을 미리 상의하고 준비물(소품, 속옷, 신발 등)도 챙겨야 해요.
예복 준비 신랑 턱시도, 신부 웨딩드레스 외에도 부모님 예복, 혼주 한복 등도 준비해요.
- 웨딩박람회 방문 or 업체 상담
- 스튜디오 : 웨딩 촬영
- 드레스 : 본식/촬영용 드레스 선택
- 메이크업 : 본식 및 촬영용 헤어/메이크업
👉 보통 웨딩박람회에서 패키지 계약 많이 해요
4. 신혼집 마련
신혼집 마련 전세, 월세, 자가 여부에 따라 미리 결정하고 계약해요. 입주 전 청소나 간단한 인테리어도 미리 해두는 게 좋아요.
- 신혼집 위치 및 형태 결정(전세, 월세, 매매 등 방식 결정)
- 인테리어, 가구, 가전 구매
5. 예물 / 예단 / 혼수 준비
예물 및 예단 준비 예물은 보통 신랑·신부가 서로에게 주는 반지, 시계 등이고, 예단은 신부가 신랑 집에 드리는 선물이에요. 예단비, 예단 함, 예단함 보자기 등도 함께 준비해요.
혼수 준비 신혼집에 필요한 가전제품, 가구 등을 구매해요. 예산에 따라 필요한 것부터 우선순위를 정해 준비해요.
- 예물: 보통 반지, 시계, 귀금속 등
- 예단: 신부 측에서 신랑 집에 드리는 선물
- 예단 구성 및 예단함 준비
- 혼수: 가전, 가구 등 신혼집 준비
- 혼수 리스트 작성
6. 신혼여행 예약
신혼여행 예약 예식 후 떠날 수 있도록 여행지, 일정, 숙소, 비행기 등을 미리 예약하고 필요한 준비물도 챙겨요.
- 예식 후 일정 고려해서 예약
- 여행지, 항공, 숙소, 일정 등 미리미리 준비
7. 웨딩 촬영
- 웨딩 촬영일 확정
- 촬영용 드레스/의상 준비
- 메이크업 & 헤어 리허설
- 결과 사진 확인 및 앨범 제작
8. 청첩장 제작 및 하객 관리
청첩장 제작 및 하객 리스트 정리 결혼식 한두 달 전에 청첩장을 디자인하고 제작해요. 하객 명단을 정리하고, 식사 인원이나 교통편 등도 함께 고려해요.
- 청첩장 디자인 선택 → 제작 → 발송
- 하객 리스트 정리
- 식사 인원 확인(식대 및 좌석 배치 계획 등)
9. 폐백 및 함 준비
-전통 혼례절차인 폐백을 진행할 경우 폐백 음식, 의상 등을 준비해요. 함(전통적으로 신랑 측이 신부 측에 보내는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도 있어요.
10. 결혼식 당일 준비
사회자·축가 섭외 및 식순 구성 결혼식 진행을 도와줄 사회자, 축가자 섭외하고 식순(입장, 축사, 축가, 폐백 등)을 구성해요.
결혼식 당일 리허설 및 진행 결혼식 전 리허설을 통해 동선과 순서를 점검하고, 본식 당일에는 웨딩플래너나 도우미의 도움을 받아 원활하게 진행해요.
- 사회자, 축가자 섭외
- 식순 구성 및 리허설
- 웨딩플래너가 있다면 당일 진행 도움
- 신랑·신부 리허설, 예복 준비(턱시도, 한복준비 등)
- 폐백 or 함 준비 여부 결정
9. 혼인신고
혼인신고 결혼식 이후 주민센터에서 혼인신고서를 제출하면 법적으로 부부가 돼요.
신분증과 증인 2명이 서명한 혼인신고서가 필요해요.
- 동사무소에서 신고
- 준비물: 신분증, 혼인신고서 (양측 서명 필요)
10. 마무리
- 감사 인사 및 답례품 준비
- 결혼식 피드백 & 정산
지금 어느 단계쯤 계신가요?
과정을 기본으로 자신들의 일정과 상황에 맞게 조정하면 돼요.
각 단계마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더 준비할 게 많지만, 큰 틀에서 이렇게 정리하면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