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두 사람이 하나 되는 소중한 순간이자, 두 집안이 인연을 맺는 중요한 의미 있는 일입니다.
그래서 우리 전통 혼례 문화에서 예물, 예단, 폐백 같은 다양한 절차가 함께합니다.
이 세 가지는 단순한 선물이 아니라, 각각 고유의 의미와 절차를 지니고 있으며 서로에 대한 존중과 감사, 약속을 담은 중요한 의식입니다.
현대에 와서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간소화하거나 실용적인 방향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도 하지만, 그 의미는 여전히 깊습니다.
1. 💎 예물이란 무엇인가요?
예물은 결혼을 앞둔 신랑이 신부에게 주는 선물로, ‘평생을 함께하겠다’는 마음을 담는 사랑과 약속의 증표입니다.
원래는 결혼을 성사시키기 위한 정식 절차에서 필수로 여겨졌으며, 전통적으로는 금, 은, 옥 등의 귀금속이나 장신구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결혼을 약속하며 주고받는 이 예물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 내려온 혼례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이런 예물을 준비했어요:
- 귀금속 : 금반지, 다이아몬드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이 대표적입니다.
- 보석 세트 : 흔히 진주류의 보석 3종 세트(목걸이, 반지, 귀걸이) 또는 5종 세트(팔찌, 브로치 포함)로 준비합니다.
●요즘 많이 선호하는 예물은?
- 다이아 반지 : 1캐럿 전후의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가장 인기 많아요. 데일리로 착용할 수 있는 심플한 스타일을 선호합니다.
- 명품 시계 : 롤렉스, 오메가, 까르띠에 등의 고급 시계는 실용성과 가치 모두를 만족시켜 줍니다.
- 골드바 : 금값이 꾸준히 오르면서, 아예 실물 자산인 골드바를 예물로 주는 분들도 많아요.
- 남성 예물 : 최근에는 신랑도 명품 시계, 맞춤 정장, 반지, 가방 등 실용적이고 고급스러운 아이템으로 대체되는 문화가 보편화됐습니다.
💡Tip : 요즘은 서로 주고 받는 예물로 신부뿐 아니라 ‘커플 예물’로 반지와 시계를 서로 맞추거나, 선물로 주고받는 게 일반적입니다.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양가가 협의해 결정하는 것이 좋아요.
2. 🎁 예단이란 무엇인가요?
예단은 신부 측이 신랑 집에 보내는 선물로, 딸을 시집보내며 시댁 어르신들에 대한 감사와 예의를 표현하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한지에 정성스럽게 포장한 '예단보'에 싸서 전달하며, 특히 ‘딸을 잘 부탁드립니다’라는 정성과 마음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전통적인 예단의 구성:
- 한복 : 비단 또는 명주로 만든 시어른을 위한 예복 한 벌씩 준비합니다.
- 혼수 이불 : 고급 진주색 이불이나 명주로 만든 혼례용 침구 세트.
- 은수저, 반상기 세트 : 오래도록 건강하게 식사하시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 술잔 세트 : 잔치나 명절 때 사용하시라고 준비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이런 식으로 바뀌고 있어요:
- 현금 예단 : 현물 대신 '예단비' 명목으로 실용적인 현금을 예단봉투에 넣어 전달합니다. 보통은 500~1000만원 사이에서 조율됩니다.
- 간소화된 예단 : 과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요즘은 예단을 줄이거나, 핵심만 준비해서 시부모님께 드릴 한복과 이불만 준비하거나, 기념품 형태로 조율해 부담을 덜기도 합니다. ‘줄 예단’이라고도 합니다.
- 예단 대신 실용품 : 명품 가전이나 혼수 가구를 예단처럼 전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ip: 예단은 양가 합의가 가장 중요합니다. 과하지 않게, 서로 부담되지 않도록 맞추는 것이 요즘 추세예요.
3. 🙏 폐백이란 무엇인가요?
폐백은 결혼식 이후 신부가 신랑 집안 어른들께 절을 올리는 전통 의식입니다. 이 자리에서 신부는 효성과 존경과 예의를 표하고, 시부모님은 덕담과 함께 축복의 마음을 전달합니다.
폐백을 올릴 때는 폐백 음식(한과, 대추, 밤, 포 등)과 함께 절을 드리고, 어른들은 덕담과 함께 예단돈이나 폐백돈을 건넨다.
● 폐백 의식에서 하는 일:
- 절을 올림 : 신랑과 신부가 전통 예복을 입고 부모님께 큰절을 드립니다.
- 폐백 음식 : 대추와 밤, 한과, 육포 등을 폐백상에 올립니다. 대추와 밤은 자손 번창을 의미해요. 대추와 밤을 던져 자녀 운을 점치기도 한다.
- 폐백 돈(덕담금) : 어른들이 자녀에게 덕담과 함께 건네는 돈으로, 축복과 격려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요즘 폐백은 이렇게 진행돼요:
- 약식 폐백 : 절만 올리고 간단한 상차림만 준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촬영 폐백 : 전통 혼례복을 입고 스냅촬영만 하는 간소한 방식도 있어요.
- 생략하기도 함 : 간단한 예식에서는 폐백 자체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으나, 어르신이 중요하게 여기시는 경우는 꼭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Tip: 폐백 음식은 전문 폐백업체를 통해 맞춤형으로 준비하면, 예쁘고 간편하게 차릴 수 있습니다.
4. 요즘 선호하는 예물·예단 트렌드와 추천
최근에는 전통의 의미를 살리되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과거처럼 ‘과시용’ 예물보다, 평소에도 착용할 수 있고 가치가 유지되는 아이템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예물 추천
-다이아 반지: 1캐럿 내외의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인기.
-명품 시계: 롤렉스 데이저스트, 오메가 씨마스터, 까르띠에 탱크 등 실용성과 투자 가치 모두 갖춤.
-커플 예물: 반지와 시계를 세트로 맞추는 경우 많음.
-골드바 예물: 최근 금 시세 상승으로 인해 실물 자산인 골드바를 예물로 주는 것도 유행.
●예단 추천
-현금 예단: 500~1000만 원 사이에서 실속 있게 조율.
-혼수 대체형 예단: 침구류나 주방가전 등 혼수 겸용 예단으로 실용성 강조.
-프리미엄 전통예단: 고급 명주 이불, 전통 문양의 보자기 등으로 격식 유지.
💡 정리하자면…
항목 | 전통적 방식 | 요즘 선호 방식 |
예물 | 보석 세트, 금붙이 | 다이아 반지, 명품 시계, 골드바 등 실용적 선물 |
예단 | 한복, 이불, 은수저, 술잔 | 현금 예단, 간소 예단, 혼수로 대체 |
폐백 | 폐백상, 절, 덕담금 | 약식 폐백, 촬영만 진행 또는 생략 |
💡마무리
결혼은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가족 간의 만남입니다.
예물, 예단, 폐백 모두 전통적인 의미를 살리되, 양가 협의를 통해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서로 존중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서로의 체면을 살릴 수 있도록 조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중요한 건 전통의 의미를 존중하되, ‘형식’보다 ‘진심’이라는 점!
실용성과 감동을 함께 담은 예물과 예단 준비가 바람직하다는 점을 기억하면 준비 과정도 훨씬 편안해질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