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행복한 결혼 준비를 위한 결혼 용어 쉽게 정리하기

by d-diary01 2025. 4. 15.
반응형

💍 결혼 용어 쉽게 정리하기

 

결혼은 두 사람이 하나의 가정을 이루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런데 결혼을 준비하다 보면 듣도 보도 못한 용어들이 쏟아져 나와 당황하기 마련이죠. 아래는 결혼과 관련된 대표적인 용어들을 알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상견례

결혼을 앞두고 양가 부모님이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만나는 자리입니다. 주로 식사를 하며 서로 인사를 나누고 두 사람의 결혼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 자리에서 결혼 날짜, 예식장, 예단과 예물 등 구체적인 일정이나 준비에 대해 논의하기도 합니다.

 

2. 예물 / 예단

- 예물 : 결혼 당사자끼리 주고받는 물건입니다. 보통 신랑은 신부에게 반지나 목걸이 같은 귀금속을, 신부는 신랑에게 시계나 정장 등을 준비합니다.  
- 예단 : 신부 쪽에서 신랑 집에 보내는 선물입니다. 전통적으로는 혼수 일부와 함께 현금 예단, 또는 비단 등으로 구성되며, 현대에는 예단 대신 간소한 선물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3. 혼수

결혼 후 신혼집에서 사용할 가구, 가전, 생활용품 등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는 신부 측에서 준비했지만, 요즘은 예산에 따라 양가가 분담하거나 같이 준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4. 함

신랑 측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상자입니다. ‘함’에는 혼서를 비롯해 혼인을 약속하는 문서와 폐백용품 등이 들어 있습니다. 함을 신랑의 친구나 친척이 전달하는 것을 **함진아비**라고 부릅니다. 이 풍습은 생략하는 경우도 많지만, 전통을 중시하는 가정에서는 여전히 진행하기도 합니다.

 

5. 혼인신고

법적으로 부부가 되기 위한 절차입니다. 예식을 올렸더라도 혼인신고를 하지 않으면 법적으로는 부부가 아닙니다. 주민센터에 가서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신고가 완료됩니다.

 

6. 예식장 / 웨딩홀

결혼식이 열리는 장소입니다. 호텔, 교회, 성당, 야외 등 다양한 장소가 있으며, 예식 스타일에 따라 고르게 됩니다. 보통 웨딩홀을 예약하면 식사, 사회자, 신랑신부 대기실, 폐백실 등 패키지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웨딩플래너

결혼 준비를 도와주는 전문가입니다. 예식장 계약, 드레스 투어, 촬영 스케줄 등 복잡한 스.드.메 결혼 준비 과정을 체계적으로 도와줍니다. 비용은 들지만 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인기가 높습니다.

 

8. 스드메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의 줄임말입니다. 결혼식 전 웨딩촬영, 결혼식 당일 드레스 및 메이크업을 포함한 패키지 상품입니다. 스드메는 결혼 준비의 핵심 요소이며, 예산과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샘플 화보를 보고 취향에 맞는 스튜디오를 고릅니다. 원하는 느낌이 있다면 미리 말하면 촬영 스타일을 맞춰줄 수도 있어요.

9. 폐백

결혼식 이후 신부가 시댁 어른들께 절을 올리는 전통 의식입니다. 주로 한복을 입고 폐백 음식을 함께 올리며, 어른들은 덕담과 함께 폐백 돈이나 대추·밤 등을 던져 자손 번창을 기원합니다.

 

10. 주례 / 주례사

결혼식에서 두 사람의 결혼을 공표하고 축복하는 사람입니다. 주로 존경받는 지인이나 선생님이 맡으며, 주례 없는 ‘스몰웨딩’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주례사는 그 사람이 신랑신부에게 전하는 축복의 말입니다.

 

11. 하객 / 청첩장

- 하객은 결혼식에 초대받아 축하하러 오는 손님입니다.  
- 청첩장은 하객에게 보내는 결혼식 초대장으로, 예식 날짜와 장소, 신랑신부의 이름 등이 적혀 있습니다. 요즘은 모바일 청첩장도 많이 사용됩니다.

 

12. 신혼여행

결혼 후 떠나는 여행입니다. 허니문(Honeymoon)이라고도 하며, 보통 해외나 제주도 등으로 갑니다. 둘만의 시간을 보내며 결혼의 피로를 푸는 의미도 있습니다.

 

13. 혼인서약

결혼식에서 신랑신부가 서로에게 사랑과 존중을 약속하는 말입니다. 종교 예식에서는 목사나 신부가 읽어주며, 주례 없는 예식에서는 직접 서로에게 낭독하기도 합니다.

 

14. 본식 / 식전 촬영

- 본식은 실제 결혼식이 진행되는 순간을 말합니다.  
- 식전 촬영은 결혼식 전 미리 웨딩사진을 찍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튜디오, 야외, 콘셉트 촬영 등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15. 이바지 음식신부 측에서 시댁에 결혼 감사의 의미로 보내는 음식입니다. 전통 한식으로 구성되며, 요즘은 전문 업체를 통해 준비합니다. 생략하거나 간소화하는 추세입니다.

 


이 외에도 결혼 준비 과정에는 각종 계약, 청첩장 인쇄, 웨딩카, 축의금, 부케 toss, 부토니에, 웨딩 피로연 등 다양한 용어가 있습니다. 중요한 건 양가가 충분히 소통하고, 두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의미 있는 결혼식을 준비하는 것이죠. 어떤 형식이든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